안녕하세요.
오늘은 제가 검정고시로 수시 원서를 어느 전형으로 넣었는지에 대한 포스팅을 하겠습니다.
저는 논술 전형으로 건동홍숙 중 하나의 대학에 입학했습니다.
논술, 검정고시생도 지원 가능
처음 자퇴할 때에는 정시로 가겠다는 마음으로 자퇴를 했습니다.
하지만 6개나 되는 수시원서를 다 버리는건 사실상 말도 안되는 것이기 때문에 지원 가능한 전형을 찾아보기 시작했습니다.
검정고시 고득점 학생이 지원 가능한 전형이 있는 학교도 있었지만 제가 희망하는 학교가 아니었기 때문에 더 알아보니 논술 전형이 지원 가능하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논술 말고도 요즘도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적성도 지원 가능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검정고시, 논술에서 내신은 어떻게 반영할까?
가장 궁금하신 점이라고 생각합니다.
내신이 반영되는 학교에서는 논술 점수에 따라 비교내신으로 측정합니다.
따라서 논술을 잘 쓸수록 내신 점수도 높게 측정되는 것입니다.
비교내신, 정말 불이익이 없을까?
혹시라도 검정고시 출신인데 비교내신에서 불이익이 없는지 걱정되시는 분이 많으실거라고 생각합니다.
걱정하실 필요 없습니다.
내신이 좋은 학생들은 학생부 교과나 학종을 넣지 논술을 넣지 않거든요..ㅎㅎ
저는 내신 반영 비율이 40%인 학교에 지원했지만 비교내신으로 논술전형에 합격을 했습니다.
이것만 봐도 불이은 그닥 없는 것 같습니다.
따라서 논술만 잘 쓴다면 검정고시이기 때문에 비교내신 점수가 낮아서 불합격할 일은 없을겁니다.
수리 논술 합격을 위한 소소한 팁
1. 학교별 기출 풀이: 학교별 기출 풀이를 하는 이유는 논술 작성법과 풀이 방법에 대한 학습을 위해서도 있지만 학교별 특징을 알기 위해서도 있습니다.
학교별 특징을 미리 파악하여 수시 원서 접수 시에 나와 잘 맞는 학교를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물론 수능 끝난 직후부터 준비했는데 붙는 사례도 있긴 하지만 본인의 경우는 11월 전까지 수능공부와 논술 준비를 같이 했습니다.
어차피 수능 내용을 시험보는거라 크게 수능 공부에 방해되지는 않았습니다.
2. 학과 선택은 어떻게?: 저의 경우는 일단 가장 많이 뽑는 과를 선택했습니다.
희망하는 과가 딱히 없다면 그냥 단순하게 많이 뽑는 과를 선택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일단 많이 뽑으면 예비번호를 받았을 때 운좋게 빠질 확률이 높습니다. 소수 과일 경우는 그 과가 너무 좋아서 붙었을 때 절대 안빠질 학생이 많거든요..
그리고 경쟁률이 높아 보여도 허수가 많을 확률도 높습니다.
본인은 10명 뽑는 과에서 예비 4번 받았었는데 운좋게 문닫고 합격했습니다..ㅋㅋ(물론 이건 과바과, 학바학입니다 그리고 운도 좋아야돼요.. 수시는 거의 안빠져서)
논술 준비 시기는 여러분의 재량에 맡기겠습니다.
일찍 시작한다고 합격 확률이 올라가는 것도 아니고 수능 끝나고 준비한 사람이 다 떨어지는 것도 아닙니다..
지금까지 고등학교 자퇴하고 검정고시로 대학간 후기에 대해 말씀드렸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공부법 > 고등학교 자퇴 후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등학교 자퇴 후기 7편 - 자퇴 전 체크리스트 (0) | 2022.05.16 |
---|---|
고등학교 자퇴 후기 6편 - 고등학교 자퇴 단점 (0) | 2022.05.06 |
고등학교 자퇴 후기 4편 - 재수학원 (0) | 2022.04.20 |
고등학교 자퇴 후기 3편 - 검정고시, 수능 준비 2편 (0) | 2022.04.13 |
고등학교 자퇴 후기 2편 - 검정고시, 수능 준비 1편 (0) | 2022.04.11 |
댓글